광주 경제 살리려면…"주력 공급망 조정, 먹거리 시장 확장"
호남신문 방문자
오늘 현재69,960,617명
검색 입력폼
종합

광주 경제 살리려면…"주력 공급망 조정, 먹거리 시장 확장"

광주연구원 '관세 강화에 따른 지역경제 대응방안 심포지엄'

[호남신문] 미국 트럼프 대통령 발 관세정책 위기에서 광주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자동차·석유화학·알루미늄 등의 공급망을 재조정하고 먹거리 시장 확장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광주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강화로 인한 지역경제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심포지엄을 열었다고 9일 밝혔다.
심포지엄에서 김봉진 광주연구원 공공투자경제분석센터장은 '광주 경제 동향 및 경기 진단' 발표를 통해 "광주 경제는 단기적으로 경기하락 국면에 직면해 있으며 장기적으로 저성장의 고착화가 우려되는 상황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경제 주체 각 분야의 새로운 혁신이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또 "생산과 재고가 모두 늘었지만 고용과 소비가 따라주지 않으면 반등이 어렵다"며 "인력 재교육 강화,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전통시장·소상공인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과제를 제시했다.
김현성 광주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대표는 '더 따뜻한 민생 경제를 위한 물음' 주제발표에서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민생 분야 유관기관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절실한 시기"라며 "역량을 모아 광주 민생경제를 다시 일으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수정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과장은 '트럼프 관세 정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발표를 통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지역 주력 산업의 수출입 리스크가 커졌다"며 "국제 공조 체제 구축, 조선·에너지 분야 협상 강화, 자동차·석유화학·철강·알루미늄 등 업종별로 무역협정 체결을 추진하고 기업 차원에서 공급망 재조정과 원산지 시스템 정비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운섭 광주테크노파크 본부장은 "대기업 납품 의존형 산업구조, 제조업 비중 감소와 저부가가치화 심화, 기술 고도화 성장 한계라는 구조적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광주 산업이 지닌 확장성과 기업 먹거리 시장 및 기술 확장 모멘텀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선옥 기자 ihonam@naver.com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