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의회 의과대학 유치 대책위원회 최선국 공동위원장 등이 18일 오전 국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보건복지위원회 신동근 위원장을 방문해 전남지역 의대 정원 확대와 의과대 신설을 요청하고 있다. (사진=전남도의회 제공) |
전남도의회 의과대학 유치 대책위원회는 18일 오전 국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보건복지위원회 신동근 위원장과 면담을 갖고 전남지역 의대 정원 확보를 요청했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전남지역은 섬지역 등 도서벽지가 많아 국립의과대학 신설이 30년 넘은 숙원사업이다.
하지만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로 가닥을 잡으면서, 전남지역 정치권도 지역 의대 정원 확보에 팔을 걷어붙였다.
정부와 정치권, 의사단체 등의 의견을 종합하면 의대 정원은 기존 정원이 적은 곳, 국립의대, 지방의대, 의대가 없는 곳, 인구 대비 의사 수 비율 등을 감안해 배정될 가성능이 있다.
현재 국내 의대 40곳 중 17곳(42.5%)이 정원 50명 미만인 '군소의대'로 분류된다. 현재 광주에 위치한 전남대와 조선대는 각각 의대 정원이 125명으로 군소의대에 포함되지 않는다.
단, 전남지역은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고, 도서벽지가 많아 의료서비스 격차가 크다는 것이 의대 정원 확보에 유리한 점이다.
의사협회도 의대 정원을 확대할 경우 생명과 직결된 필수 의료인력과 지방에서 근무할 수 있는 지역 의료인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전남도의회 의대 유치 대책위 최선국 공동위원장은 "당장 의과대학 신설이 어렵다면 우선 의대 정원부터 확보하는 것이 현실적이다"며 "앞으로 전남지역 국립의대 신설 필요성의 공감대를 확대해 반드시 지역 의료 격차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국회 방문에는 신민호 공동위원장, 박경미·김호진·정철·이규현·박원종 전남도의원 등이 함께 했다.
변용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