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포~하당~남악~오룡 잇는 전남형 트램 노선 구상도. (이미지=전남도 제공) |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31일 "전남 서남권 경제발전과 관광 활성화를 위해 전국 유일의 신개념 고속도로망을 구축하고, 버스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대중교통 도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브리핑룸에서 박홍률 목포시장, 우승희 영암군수, 김성훈 무안부군수가 함께 참석한 가운데 '전남 서남권 SOC 신(新)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발표문은 '제20대 대선 지역공약'에 반영된 '광주~영암 아우토반'을 조속히 건설하고, 대불산단대교로 목포까지 연결해 아우토반 효과를 서남권 경제·관광 활성화의 마중물로 삼겠다는 비전을 담았다.
광주에서 영암 F1경기장까지 47㎞ 구간을 아우토반으로 연결하면 나머지 구간은 기존 도로(16.3㎞)를 통해 자연스럽게 목포까지 연결된다.
여기에 대불산단 입주기업과 근로자, 관광객의 교통편의를 위해 영암~목포를 잇는 2.5㎞ 구간을 해상교량으로 연결한다.
아우토반이 영암을 거쳐 해상교량으로 목포까지 이어지면 독일의 아우토반처럼 젊은이들이 마음껏 속도를 즐기고, 이색적인 관광지를 찾는 전 세계 관광객이 몰려드는 대한민국 대표 관광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F1경기장 활성화와 함께 주변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물류비 절감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사업비는 광주~영암 아우토반 2조6000억원, 대불산단대교 1900억원 등 총 2조7900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전남도는 올해 하반기부터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을 추진해 국가계획 등에 반영되도록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목포 구도심~하당~남악·오룡 신도시'까지 총 연장 15.7㎞를 잇는 '전남형 트램' 도입도 추진한다.
친환경 교통수단인 트램은 편리성과 관광 기능을 두루 갖추고 있다. 대중교통 이용자의 선택의 폭이 확대되고, 중심 시가지 교통 혼잡 해소와 한정된 도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차대세 대중교통 수단으로 전 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1899년 서울에서 처음 운행했지만 버스와 승용차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1968년 멈췄다. 그러나 최근 환경과 대중교통 분담 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유럽 등 선진국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운영되고 있고, 국내에서는 서울 위례선이 지난 4월 착공했으며, 부산·대전·인천·울산·성남·수원·창원 등 전국 많은 지자체들이 앞 다퉈 트램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법률적으로도 트램 3법으로 불리는 도시철도법·철도안전법·도로교통법이 모두 개정(2016~2018년)돼 제도적 근거도 마련된 상태다.
트램이 도입되면 지역 명소와 주요 거점지역을 잇는 새 교통수단으로 전남 서남권 관광산업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비는 4000억원이 예상된다. 올해 하반기부터 최적의 노선과 운행 방식 검토를 위한 용역을 추진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라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등 세부계획을 세울 계획이다.
김영록 지사는 "전남 서남권이 새로운 발전 전기를 맞도록 '광주~영암·목포 아우토반, 대불산단대교 연결'과 '전남형 트램' 구축을 목포시·영암군·무안군과 함께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슬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