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2일 전남도에 따르면 2024년산 물김 생산 종료 결과 생산량은 40만8000t, 생산액은 8000억 원을 달성했다. 국내 수산물 단일 품목으로 최초다.
시·군별 생산액은 진도 2284억 원, 고흥 2162억 원, 완도 1320억 원 순이다. 전국 생산량(50만9000t)의 80%, 전국 생산액(9742억 원)의 82%로 압도적 우위다.
전년 대비 생산량은 1만7000t, 생산액은 3500억 원 증가했다. 생산액 증가의 가장 큰 요인은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 122개국 김 수출 확대와 재고율 감소, 중국과 일본의 작황 부진 등으로 분석된다.
전남도는 광활한 김 양식 어장을 생산 초기 단계부터 본격 채취까지 불법 시설물의 강력한 단속과 일제정비를 통해 적정 생산을 유도했다. 김 양식장 면적은 617㎢로 어류, 해조류, 패류 등 82개 양식 품종 중 가장 넓은 면적이다. 여의도 면적(2.9㎢)의 212배 규모다.
또 안정적 김 생산과 어가 소득 증대를 위해 김 육상채묘와 냉동망 시설 지원 등 8개 사업에 270억 원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고효율 김 활성처리 물질을 개발해 무기산 사용을 뿌리뽑고, 안정적인 양식환경 조성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한 점도 전남 김의 국내·외 명성을 높이는데 일조했다.
박영채 전남도 친환경수산과장은 "올해 좋은 품질의 김이 많이 생산돼 김 양식 어업인의 소득이 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등 김이 효자 품목이 됐다"며 "앞으로 신규 시책을 발굴하고 지속가능한 김 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동부취재본부 김승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