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릇이 쓰인다는 것은 주인의 필요한 선택에 따라 쓰이고 있으며 선택되지 못한 그릇은 그릇으로서 역할을 못 하는 것이다. 소중한 그릇은 재질과 모양과 크기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많이 주인의 쓰임을 받는 그릇이냐가 중요하다.
날마다 주인으로부터 선택받는 그릇은 항상 깨끗하고 속이 비어있으며 자주 쓰임에 불평하지 않는다. 비록 못 생기고 작고 재질이 낮은 질그릇 일지라도 쓰임을 많이 받는 그릇은 주인의 뜻에 합당한 그릇이다.
우리가 사는 인간 사회는 찬장 안의 그릇처럼 잘난 사람 못생긴 사람, 많이 배운 사람, 적게 배운 사람, 재산이 많고 적은 사람, 건강한 사람, 허약한 사람 등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다. 이처럼 인생은 물질, 재능 시간, 건강 등을 가지고 있으며 이 모든 것은 하느님의 은혜가 임할 때 선하고 거룩하게 쓰임을 받을 수 있다.
우리 인생이 사회를 위해 어떤 쓰임을 받고 있느냐가 중요하며 소유보다는 쓰임이 더 중요하다. 쓰임 받지 못하는 금 그릇보다는 많이 쓰임 받는 질그릇이 더 우대받는다. 주님의 부름을 받고 쓰임 받는 그릇이 되려면 선택기준에 맞아야 한다.
첫째는 헛된 욕심을 버리고 속을 비워야 하며 둘째는 항상 오염되지 않고 깨끗해야 하고 셋째는 스스로 돕고 남을 배려하고 양보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주님의 쓰임을 받는다는 것은 하는 일을 주님과 함께함을 뜻하며 양심에 따라 일하는 것을 뜻한다. 쓰임 받지 못하는 그릇처럼 일 년을 통해 한 번도 주님의 쓰임을 못 받고 한 해를 넘긴다는 것은 불평스러운 일이지만, 주님의 선택기준에서 벗어난 그릇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하나의 그릇으로서 소중하게 쓰임 받는 그릇이 되려고 노력해야 하며 쓰임 받고 고생하는 것을 보람으로 알고 행복하게 사는 삶이 되어야 한다. 쓰임 받고 하는 일을 항상 은혜로 생각하며 열심히 일해야 한다.
사람이 사는 데 할 일이 없는 사람은 불행한 사람이며 쓰임 받지 못한 사람이다. 내가 어떠한 어려운 일을 하며 고생하는 것은 주님의 쓰임을 받는 그릇임을 알고 은혜에 감사해야 하며 쓰임 받은 은혜를 갚기 위해 열심히 일해야 한다.
그러므로 할 일이 없는 사람은 가정과 사회와 국가를 위해 할 일을 찾아서 열심히 일하면서 소중하게 쓰임 받는 인생 그릇이 되어야 한다. 계묘년 희망찬 새봄을 맞이헀다. 가정과 사회와 국가로부터 쓰임 받아 그 어느해 보다도 많은 일을 하여 자랑스럽고 보람찬 실적을 남긴 인생이 되었으면 한다.
정기연 전 영암 신북초 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