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신세계는 10일 개점 30주년을 맞아 임직원들이 더 강화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ESG(환경·사회적 책임·투명) 경영 실천 각오를 새롭게 다짐한다고 9일 밝혔다.
그러면 현지법인 역할을 톡톡히 해온 광주신세계의 사회공헌 활동 30년을 살펴본다.
희망장학금 누적 33억 지원∙∙∙지역인재 육성 기여
광주신세계는 1995년 개점 이후 꾸준하게 장학사업을 지속해 오고 있다.
매년 지역인재들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도록 여러 장학재단에 매년 연간 총 1억원 이상의 장학금을 후원해 왔다.
2014년부터는 매년 1억3000만원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지원 규모는 현재 누적 33억원에 수혜자는 총 3000여명을 웃돈다.
복지관 연계 소외계층에 'S-BOX' 생필품 전달 지속
광주신세계는 2017년부터 사업장이 소재한 서구 관내 복지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등 여러 기관과 연계해 결손·위기가정 아동 가구에 '사랑의 S-BOX' 생필품을 매년 전달하고 있다.
사랑의 S-BOX는 매월 500만원, 한 해 6000만원 상당의 식품과 생필품으로 구성된 패키지 박스를 만들어 소외계층 100가구에 제공하는 사회공헌 활동이다.
누적 4억8000만원을 지원했으며 올해부턴 임직원들이 직접 물품 구매부터 박스 포장 작업에 함께 참여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여기에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하는 '결손아동 지원' 프로그램도 2004년부터 시작해 매년 42명의 아동에게 매달 7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누적 수혜자는 840명에 금액은 7억3000만원에 달한다.
희망배달 캠페인∙환경정화 활동 임직원 자발적 참여
2006년부터 이어온 '희망배달 캠페인'은 임직원들의 자발적 참여가 돋보이는 사회공헌 활동이다.
임직원들이 기부한 금액만큼 회사가 동일한 금액을 기부하는 매칭 그랜트 방식으로 시작해 노사가 함께하는 바람직한 사회공헌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조성된 기금은 결연 아동을 정기 후원하거나 난치병 환아 치료비 지원, 희망장난감 도서관 건립 등에 쓰였다.
매달 광주천 정화활동과 사업장 주변 환경정화활동에도 임직원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
무등산 플로깅 캠페인을 비롯해 올해는 광주천 환경정화·보호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아울러 소외계층에 이웃 사랑의 온기를 전하기 위해 지난 2000년 연말부터 매년 '사랑의 김장김치 나눔'과 크리스마스 시즌에 '희망산타 원정대' 프로그램도 한 해도 쉬지 않고 펼쳐오고 있다.
30년 이어온 사회공헌 ESG경영 성과로 인정받아
광주신세계가 지난 30년간 다방면으로 펼친 지역사회 공헌 활동은 ESG 경영 성과로 인정받았다.
그간 펼쳐온 사회공헌 활동은 소외계층 지원∙인재 육성∙환경정화 활동을 비롯해 코로나19 사태, 화정동 아이파크 아파트 붕괴 사고,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등 각종 대형 사회재난 극복 후원금 전달 등이 대표적이다.
광주신세계는 이러한 사회공헌 성과를 인정받아 한국ESG 기준원이 주관한 ESG평가에서 2023~2024년 2년 연속 A평가를 받았다.
변용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