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지도 업무는 자치구 별 기피 업무 선정 과정에서 매차례 높은 순위에 해당, 관련 직책 공직자들은 고질적인 불법주정차 단속 인력 부족과 민원인과의 대면 마찰 애로사항을 호소했다.
20일 광주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자치구들은 6~7급 이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구청 내 격무·기피부서 또는 업무를 지정하고 운용 중이거나 지정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최근 광산구가 선정 절차를 마쳤고 서구가 오는 25일부터 5일 동안 직원 설문조사를 받아 최종 선정한다. 다른 자치구는 지난해 또는 과거 선정 절차를 마치고 운용 중이다. 선정 주기는 6개월에서 4년까지 다양하다.
공직자들이 선정한 격무·기피부서 또는 업무 중 가장 피하고 싶은 일은 교통지도 관련 부서·업무로 파악됐다.
인력 부족에 따른 불법주정차 단속 어려움, 관련 과태료 직접 부과 부서인 점으로 인한 민원인과의 유선·대면 마찰 고충이 선정 배경으로 꼽힌다.
격무·기피부서 순위를 매기는 서·남구의 경우 최근까지 교통지도 관련 부서가 최상단에 위치했다.
서구는 지난해 상·하반기 모두 교통지도과를 격무·기피 1순위 부서로 선정했다. 남구도 2019년부터 4년 동안 교통지도팀을 기피 1순위 부서로 지정하고 가장 높은 근무성적평정점수 가점을 부여했다.
순위를 나누지 않는 대신 모든 부서 별로 격무·기피 업무를 집계하는 동·북·광산구의 경우에도 교통지도 과태료 부과·민원인 응대 등 업무는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
격무·기피부서 또는 업무 선정 과정에서 진행된 설문조사에서는 자치구별 특색이 반영된 결과도 나왔다.
동구 직원들은 역점 사업인 충장르네상스 사업을 격무·기피 업무 중 하나로 선정했다. 상권 활성화 과정에서 접하는 다양한 상인들의 민원들이 애로사항으로 꼽혔던 것으로 전해진다.
서구의 경우 지난 2022년부터 이듬해까지 기후환경과를 격무·기피 1순위로 선정하고 관리했다. 붕괴 참사로 사상자 6명이 발생한 화정아이파크 현장에서 건물 철거 작업이 진행되면서 빗발친 비산먼지 등 민원 탓으로 풀이된다.
실제 붕괴 참사 이후 진행된 화정아이파크 아파트 철거 과정에서는 관련된 민원이 여러 부서에 걸쳐 수백여 건 빗발치는 등 일부 직원들의 고충이 있었다.
말바우시장 내 생존권을 호소하는 노점상인들의 집단행동이 조직화된 북구는 건설과 내 노점상·노상적치물 단속 업무가 기피 업무로 선정됐다.
광산구도 기피업무 선정 과정에서 북구와 비슷한 내용이 반영됐다. 광산구가 올해 초 진행한 격무·기피업무 선정 결과 건설과의 노점상 및 노상적치물 정비 업무가 43.5%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자치구들은 격무·기피 부서 또는 업무 선정 결과에 따라 해당 부서·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일정 기간 이상 일할 경우 매월 근무성적평정점수를 추가로 부여하거나 국내·외 연수 신청에 우선순위를 주는 등 인사고과에 반영한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격무·기피 부서 또는 업무에 자발적으로 나선 직원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관리와 적절한 보상이 뒤따른다"며 "해당 업무를 맡은 직원들에게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면서 사기 진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임형택 기자 ihona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