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발인데 평발인줄 모르는 사람 많아"
입력 : 2015. 08. 25(화) 17:35
친구들과 쇼핑을 하던 김 모씨(25)는 발에 심한 통증을 느껴 병원을 찾았다. 편한 운동화를 착용하고 왔음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걷다 보니 발을 디딜 수 없을 정도로 아팠다. 평상시 걸을 때 간간이 통증은 있었기 때문에 발질환이 생겼나 짐작했지만 뜻밖에도 평발 진단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발은 발바닥 안쪽에 움푹 들어간 아치(arch)가 있다. 적당한 크기의 아치는 걸을 때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는 쿠션 역할을 하고 추진력을 만들어줘 보행에 도움을 준다.
용인분당예스병원은 "평발은 발바닥의 아치가 비정상적으로 낮거나 없는 모든 종류의 발을 지칭하는데 발바닥이 납작한 평발은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다"며 "하지만 실제로는 평발이면서도 평발인지 모르고 평생을 사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유연성 평발'이라 부른다"고 22일 밝혔다.
유연성 평발은 평소 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옆에서 보거나 앉아서 발바닥을 뒤집어 보았을 때는 구분이 어렵다. 체중이 실릴 때만 평발이 되는데 보행 시 아치가 없어진 상태에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아 완충 기능을 제대로 못하게 된다.
용인분당예스병원 양형섭 원장은 "유연성 평발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은 성장기를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는데도 평발인지 모르고 방치할 경우 족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평발은 정상적인 보행을 방해해 장기적으로는 신체 변형을 일으켜 걸음걸이, 자세 등에도 악영향을 미쳐 허리, 발목, 무릎관절에 압박이 오는 등 2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족부 질환으로 족저근막염이 있는데, 특히 중년 여성, 발이 큰 사람, 과체중인 사람,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이 평발일 경우 족저근막염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은 편이다.
평발이라고 모두 치료나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박지성, 이봉주 같은 스포츠 스타들이 평발 콤플렉스를 극복했듯 개인마다 정도의 차이가 있다. 유연성 평발은 평소 운동으로 치료와 예방이 가능한데 발가락 스트레칭을 해주거나 발건강에 좋은 신발을 찾아 신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양 원장은 "발은 우리 몸을 지탱해주고 이동할 때 몸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작은 통증이라도 원인을 찾아내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최근에는 비만이면서 굽 높은 신발을 신거나, 장시간 서서 일을 하는 등 후천적 평발도 늘고 있는 만큼 증상이 의심되면 바로 병원을 찾아 조기 교정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발은 발바닥 안쪽에 움푹 들어간 아치(arch)가 있다. 적당한 크기의 아치는 걸을 때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는 쿠션 역할을 하고 추진력을 만들어줘 보행에 도움을 준다.
용인분당예스병원은 "평발은 발바닥의 아치가 비정상적으로 낮거나 없는 모든 종류의 발을 지칭하는데 발바닥이 납작한 평발은 누구나 쉽게 구분할 수 있다"며 "하지만 실제로는 평발이면서도 평발인지 모르고 평생을 사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유연성 평발'이라 부른다"고 22일 밝혔다.
유연성 평발은 평소 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옆에서 보거나 앉아서 발바닥을 뒤집어 보았을 때는 구분이 어렵다. 체중이 실릴 때만 평발이 되는데 보행 시 아치가 없어진 상태에서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닿아 완충 기능을 제대로 못하게 된다.
용인분당예스병원 양형섭 원장은 "유연성 평발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은 성장기를 지나면서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며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는데도 평발인지 모르고 방치할 경우 족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평발은 정상적인 보행을 방해해 장기적으로는 신체 변형을 일으켜 걸음걸이, 자세 등에도 악영향을 미쳐 허리, 발목, 무릎관절에 압박이 오는 등 2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대표적인 족부 질환으로 족저근막염이 있는데, 특히 중년 여성, 발이 큰 사람, 과체중인 사람,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이 평발일 경우 족저근막염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은 편이다.
평발이라고 모두 치료나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박지성, 이봉주 같은 스포츠 스타들이 평발 콤플렉스를 극복했듯 개인마다 정도의 차이가 있다. 유연성 평발은 평소 운동으로 치료와 예방이 가능한데 발가락 스트레칭을 해주거나 발건강에 좋은 신발을 찾아 신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양 원장은 "발은 우리 몸을 지탱해주고 이동할 때 몸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작은 통증이라도 원인을 찾아내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최근에는 비만이면서 굽 높은 신발을 신거나, 장시간 서서 일을 하는 등 후천적 평발도 늘고 있는 만큼 증상이 의심되면 바로 병원을 찾아 조기 교정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